목록Javascript (27)
지영이의 개발 블로그

|| 연산자 (논리 OR 연산자) // 예시 1 let value1 = 'Hello' || 'Default'; console.log(value1); // 출력: Hello // 예시 2 let value2 = null || 'Default'; console.log(value2); // 출력: Default // 예시 3 let value3 = undefined || 'Default'; console.log(value3); // 출력: Default // 예시 4 let value4 = 0 || 'Default'; console.log(value4); // 출력: Default ?? 연산자 (nullish coalescing 연산자) // 예시 1 let value1 = 'Hello' ?? 'Default..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란? 클로저를 이해하려면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렉시컬 스코프는 함수를 어디에 선언하였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가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며, 이를 정적 스코프(Static Scope)라고 부르기도 한다. var x = 1; function foo() { var x = 10; bar(); }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1 bar(); // 1 위와 같은 상황에서 bar 함수에서 참조하는 x 변수는 bar 함수의 상위 스코프가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위 스코프가 무엇인지 알려면 bar 함수가 어..
for...of 는 배열의 반복에서 사용되고, for...in은 객체의 반복에서 사용된다. ✔for in 반복문 객체에 주로 사용합니다. 즉, 객체 자료형에 자료들을 하나씩 꺼내고 싶을때 사용을 하게 되는데요. var 오브젝트 = { name : 'Kim', age : 30 }; for (var key in 오브젝트) { console.log(key,오브젝트[key]); //key kim age 30 } 오브젝트 라는 객체를 생성 후 for(key in 객체명) {} 형태로 for문을 돌리고 console.log를 찍어보면 key 값에 객체의 key가 들어가게 됩니다. 키값과 밸류를 같이 보고 싶으시다면 key와 밸류값에 접근하는 방법인 객체명[키값]을 입력 하면 됩니다. for in 반복문 특징 (1)..
✔Rest 파라미터 Rest 파라미터(Rest Parameter, 나머지 매개변수)는 매개변수 이름 앞에 세개의 점 ...을 붙여서 정의한 매개변수를 의미한다. Rest 파라미터는 함수에 전달된 인수들의 목록을 배열로 전달받는다. function 함수2(...파라미터들){ console.log(파라미터들) //[1,2,3,4,5,6,7] } 함수2(1,2,3,4,5,6,7); =>원하는 파라미터 왼쪽에 ... 기호를 붙여주시면 "이 자리에 오는 모든 파라미터를 [] 중괄호로 감싸준 파라미터" 라는 뜻입니다. function 함수2(a, b, ...파라미터들){ console.log(파라미터들) // [3,4,5,6,7] } 함수2(1,2,3,4,5,6,7); =>함수에 전달된 인수들은 순차적으로 파라미터..
extends class를 상속한 class를 만들고 싶을 때 쓰는 extends 할아버지 class를 하나 만들고 할아버지 class는 성과 이름이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class 할아버지{ constructor(name){ this.성 = 'Kim'; this.이름 = name; } } 그럼 이제 new 할아버지() 이렇게 하면 새로운 object를 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class가 너무나도 유용한 나머지 이것과 유사한 class를 하나 더 만들고 싶습니다. 그러면 직접 class를 하나 더 만들어서 내용을 복붙하면 되겠죠? 하지만 class안에 복사할 내용이 너무나도 많으면 코드가 너무나도 길어집니다. extends라는 문법을 이용해서 class를 만드시면 기존에 있던 clas..

✔자바스크립트의 작동원리 with Thread(스레드)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는 작업 단위입니다. 그리고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단위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하나의 프로세스가 할당되고,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개의 스레드가 돌아가며 어플리케이션이 빠르게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싱글 스레드란? 싱글 스레드란,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한가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하나의 흐름이다. 다시말해, 동시에 하나의 코드만 실행할 수 있다는 뜻이다. 멀티 스레드란?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스레드로 구성하고 각 스레드로 하여금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인가? 자바 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로..

✔this키워드 객체는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동작을 나타내는 메서드를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은 복합적인 자료구조다. 동작을 나타내는 메서드는 자신이 속한 객체의 상태 , 즉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메서드가 자신이 속한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하려면 먼저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어야한다 즉 this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참조 변수다. this 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다. ✔ this가 가르키는 값, 즉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1.일반 함수 안에서 쓰면 this는 window를 뜻합니다. (전역 객체가 바인..

✔ apply,call,bind 메서드는 Function.prototype의 메서드다 . apply,call 메서드의 본질적인 기능은 함수를 호출하는 것이다 💡apply,call 메서드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apply와 call 메서드는 함수를 호출하면서 첫번째 인수로 전달한 특정객체를 호출한 함수에 바인딩 하는 것은 같다 (차이점) apply와 call 메서드는 호출할 함수에 인수를 전달하는 방식만 다를 뿐 동일하게 동작한다. apply 메서드는 호출할 함수의 인수를 배열로 묶어 전달한다 call 메서드는 호출할 함수의 인수를 쉼표로 구분한 리스트 형식으로 전달한다. [예제] var person = { 인사 : function(){ console.log(this.name + '안녕') } }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