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it&Github (4)
지영이의 개발 블로그

✔Git 1.git add, commit,status,log git의 commit 기능을 쓰면 쓰면 파일의 현재상태를 매일매일 기록해둘 수 있습니다.정확히 말하면 파일의 스냅샷을 저장해줍니다. 그럼 원할 때 쉽게 되돌아가거나 그럴 수 있습니다. ✔여러 파일을 동시에 스테이징 git add 파일명1 파일명2 ✔작업폴더의 모든 파일을 전부 스테이징 git add . ✔지금 변경된 파일, 스테이징된 파일 이런걸 쭉 알려줌. ✔스테이징된 파일을 취소하고 싶을떄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commit 기록을 한 눈에 파악하고 싶으면 git log 명령어 입력하면 됩니다. --graph 옵션을 넣으면 그래프로 그려줍니다 ( 입력 후엔 Vim 에디터가 켜져서 j, k 키로 위아래 스크롤이 가능하고..

브랜치란? 깃으로 버전 관리를 시작하면 기본적으로 master 브랜치가 만들어진다. 사용자가 커밋할 때마다 master 브랜치는 최신 커밋을 가리킨다. 새 브랜치를 만들면 기존에 저장한 파일을 master 브랜치에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 파일 내용을 수정하고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파일을 만들 수 있다. master 브랜치에서 뻗어 나오는 새 브랜치를 만드는 것을 '분기(branch)한다.'고 한다. 분기했던 브랜치를 master 브랜치에 합치는 것을 '병합(merge)한다.'고 한다. 기본 브랜치명 변경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브랜치 만들기 $ git branch : 브랜치를 만들거나 확인하는 명령 $ git branch : 새로운 브랜치를 만듦 ..

리눅스 명령어 $ pwd : 현재 위치 경로 확인 $ ls :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 확인 ls 명령 옵션 모음 -l : 파일과 디렉터리의 상세 정보까지 표시 -a : 숨긴 파일과 디렉터리를 표시 -r: 파일의 정렬 순서를 반대로 표시 -t : 파일 작성 시간 순으로 표시 $ cd : 디렉터리 사이를 이동 디렉터리 나타내는 기호 ~ :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 : 현재 사용자가 작업중인 디렉터리 ../ : 현재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 $ mkdir : 현재 디렉터리 안에 하위 디렉터리를 만듦 $ rm -r : 디렉터리를 삭제할 경우 'rm' 명령을 사용함. 이때 -r 옵션을 붙이면 디렉터리 안에 있는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까지 함께 삭제 깃 초기화 방법 저장소를 만들고 싶은 디렉터리로..

Set up Git 최초 설청 See all the config git config --list #show all the settings in gitconfig Open config to edit git config --global -e #open .gitconfig file Set default editor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code --wait" # set default text editor for git => .gitconfig 파일이 열림과 동시에 다른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터미널이 계속 활성화 되어져 있는데 --wait 라는 옵션을 주게되면 열어진 파일이 종료되기 이전에는 다른 명령어를 수행할 수 없음 User settings git config -..